1. 2025년 트렌드 키워드의 의미
1) 다가오는 한 해를 읽는 지표
매년 이맘때쯤 뜨겁게 주목받는 2025년 트렌드 코리아 키워드가
발표되었습니다. 다가오는 한 해 동안 우리 사회와 문화가 어떤
방향으로 변화할지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이
키워드들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뱀의 센스'로 포착한 핵심 트렌드
2025년은 뱀의 해로, 뱀의 민첩하고 예민한 기질처럼 날카로운
통찰이 담긴 키워드들이 선정되었습니다. 이러한 '뱀의 센스'로
포착된 10대 키워드들을 저의 관점에서 자세히 분석하고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2. 개인의 취향과 일상을 담는 트렌드
1) 고정관념을 벗어난 새로운 소비자 유형
이제는 젠더나 성별만으로 소비자를 예측하기 어려워졌습니다.
다양한 관심사와 취미를 가진 '옴니보어' 소비자들이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소비 취향을 만들어갑니다. 이들은 더욱
날카롭고 뾰족하게 타깃팅되는 마케팅에 반응합니다.
2) 소중한 일상과 작은 성취의 가치
특별하지 않지만 평온한 하루를 소중히 여기는 '아보하'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작지만 분명한 자기 계발로 성취감을
느끼며 나다운 성장을 추구하는 '원포인트업'이 현대인의 삶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3. 사회 변화와 문화적 확장이 만들어내는 트렌드
1) 나만의 개성을 담는 소비와 무해한 가치 추구
기본 상품에 자신만의 옵션을 추가하는 '토핑 경제'는 개인화된
소비를 중요하게 만듭니다. 권력욕이나 통제욕에서 벗어나 순수하고
해롭지 않은 것을 찾는 '무해력'이 사회 곳곳에서 새로운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2) 다문화 사회로 향하는 한국의 모습
한국은 이제 더 이상 단일 민족 국가가 아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그라데이션 K'는 한국 문화와 정체성의
경계가 점차 확장되고 유연해지는 현상을 보여줍니다. 이는 한국
시스템과 문화가 세계로 뻗어 나가는 현상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1. 다면화되는 소비자의 선택과 맞춤형 경험
1)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옴니보어(Omnivore)적 소비
다양한 관심사와 취미를 가진 소비자들이 고정관념에 사로잡히지
않고 자신만의 소비 취향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더
이상 젠더와 성별만으로 잠재 고객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업들은 더욱 세밀하고 날카롭게 타깃층을 정해야 합니다.
2) 정교한 타겟팅을 통한 소비층 공략
특정 소비층을 겨냥한 마케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진입 장벽이 높은 상품에서도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
근시억제 렌즈인 마이오스마트가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수요층을
위한 마케팅으로 성공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3) 토핑경제()로 완성되는 나만의 개성
기존 상품에 추가 옵션을 선택하여 자신만의 트렌드를 만드는 토핑
경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피자나 아이스크림 토핑처럼 개인의
취향에 맞는 옵션을 추가하여 최적의 조합을 만드는 커스터마이징이
소비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 일상 속 평범함과 무해함이 주는 가치
1) 아보하(A Day): 아주 보통의 하루에서 찾는 소중함
특별하지 않지만 안온하고 평범한 하루를 소중하게 여기는
'아보하'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아무 계획 없이 집에서
보내는 여유로운 시간이나 가족과 함께하는 저녁 산책 등 일상의
순간에서 진정한 가치를 발견합니다.
2) 일상의 소중함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문화
일상의 평범하고 감사한 순간들을 사진이나 글로 기록하며 공유하는
문화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소박한 행복을 발견하고 서로
격려하며 동기 부여를 얻는 새로운 소통 방식이 됩니다.
3) 무해력: 자극 대신 순수하고 해롭지 않은 것에 집중
복잡하고 해가 되는 사건 사고가 흔한 사회에서, 앙증맞고 귀여운
무해한 것들에 열광하며 순수하고 자연적인 것들을 찾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순수대충'이라는 키워드처럼 권력욕이나 통제력 같은
기본적인 욕망에서 벗어나 무해한 사물들이 주는 위로와 안정감을
추구합니다.
3. 개인의 성장 욕구와 긍정적인 자기 계발
1) 원포인트업( Up): 작지만 확실한 성장의 기쁨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 중 하나인 성장욕을 바탕으로, 아주 작지만
한 가지의 분명한 자기계발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는
'원포인트업'이 중요해집니다. 여러 가지를 잘하기보다 한 가지를
조금 더 잘해내며 '나다운 성공'을 찾아가는 것이 핵심입니다.
2) 성장 과정을 기록하고 공유하며 얻는 동기 부여
자신의 작은 성공과 성장 과정을 사진이나 글로 기록하여 서로
공유하고 격려하며 동기 부여를 얻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는 전체적인 변화보다는 작은 시술로도 만족감을 얻는 것처럼,
부분적인 개선을 통해 큰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4. 확장되는 K-문화의 경계와 새로운 정체성
1) 그라데이션K(Gradation K):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의 정체성
한국에 거주하는 합법적 외국인 수가 크게 늘면서, 한국은 더
이상 단일민족 국가가 아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K-아이돌 그룹에 전원 외국인 멤버가 포함되는 사례처럼 문화적
경계가 유연해지고 있습니다.
2) K-정체성의 유연한 확장과 글로벌화
어떤 존재나 현상이 'K'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이분법적으로
판단하기보다, 어느 정도 K로 받아들이는 '그라데이션' 속에서
정체성을 바라보는 시각이 중요해집니다. 한국의 시스템이나 문화가
통째로 외국에 도입되고 이식되는 현상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새롭게 정의되는 소비자의 가치와 경험
1) 다변화된 소비 취향과 초개인화 전략
과거 젠더나 연령에 기반한 타겟팅은 한계를 보이며,
'옴니보어'처럼 다채로운 관심사를 가진 소비자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특정 니즈와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섬세하고
날카로운 마케팅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2) 경험 확장을 위한 맞춤형 선택의 중요성
기본 제품에 추가적인 옵션을 더해 개인의 취향을 반영하는
'토핑경제'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맞춤형
조합을 통해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브랜드 경쟁력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2. 일상 속 행복과 자기 성장의 재발견
1) 소박한 일상에서 찾는 진정한 가치
화려함보다는 평범하고 안온한 '아주 보통의 하루'를 소중히
여기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정신적 안정을 추구하며
일상의 순간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문화로 나타납니다.
2) 해롭지 않은 즐거움과 작은 성취의 힘
복잡한 사회 속에서 스트레스 대신 '무해력'을 가진 귀엽고
순수한 것에 대한 열광이 커지고 있습니다. 동시에
'원포인트업'처럼 작은 목표 달성으로 얻는 성취감이 꾸준한 자기
성장 동력으로 작용합니다.
3. 포용적 사회로의 변화와 문화의 확장
1)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과 새로운 정체성
한국은 더 이상 단일 민족 국가가 아니며, '그라데이션K'가
상징하듯 다문화가 점차 우리 사회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포용하는 새로운
K-아이덴티티를 요구합니다.
2) 경계를 허무는 K-문화의 유연한 확산
K-컬처의 영향력이 전 세계로 확장되면서, 그 경계는 더욱
유연해지고 있습니다. 외국인 멤버로 구성된 K-POP 그룹처럼
전통적인 K-범주를 넘어선 현상을 인정하고 통합하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키워드분석 
라온픽